전체 메뉴

"4년째 공전 디스커버리펀드 사태 김성태 신임 행장 해결해길"

"기업은행 신임 김성태 행장에 바란다"

미디어나비 36.5°C A+ 승인 2023.01.12 14:50 | 최종 수정 2023.01.21 06:00 의견 0

[hpn미디어나비 36.5℃ A+=hpn미디어나비 36.5℃ A+ 기자] 기업은행 신임 김성태 행장에게 4년째 공전 중인 디스커버리펀드의 적극적인 해결을 촉구하는 주장이 나왔다.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위원장 최창석, 이하 대책위)는 기업은행 신임 김성태 행장에 바란다라는 논평을 통해 "신임 행장은 대책위와 꾸준히 소통하거나, 마음을 다독이는 노력을 해왔고, 피해자들의 호소에 귀 기울였던 점을 높이 평가하면서 피해자들은 신임 행장이 디스커버러펀드 문제를 결자해지 차원에서 마무리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피해자들은 상처받은 기업은행의 고객이라는 점과 신임행장도 펀드 판매 당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점 감안하기 바란다"고 12일 밝혔다.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가 지난해 8월25일 서울 남부지방법원 앞에서 디스커버리펀드 펀드 사기판매 가해자 엄중처벌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

대책위의 논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0일 서울남부지방법원의 디스커버리펀드 1심 재판 결과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를 비롯한 피고인 전원 무죄로 방면했다. 1심 공판을 처음부터 지켜 본 대책위와 피해자들은 이번 판결이 공정하지 못하고 객관적으로 납득하지 못하고 있다.

재판부에서 의도적으로 피고인들과 변호인측 주장을 무리하게 추단해 판결했다고 주장했다. 재판과정을 통해 운용사가 중요한 정보를 판매사들에게 제공하지 않고, 중요한 결정변수를 의도적으로 감춘 사실까지 밝혀졌다고도 했다.

펀드의 판매 결정에 중요한 판단 자료인 사이드포켓, QS 기초자산의 부실 위험성, 자산실사후 드러난 위험에 대해 알려주지 않아, 펀드의 판매결정을 왜곡시켰음이 밝혀졌는데 재판과정에서 피고인 측은 판매사에 책임을 전가하는 태도를 보여 왔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피해자들과 고등법원 항소심에서 보다 엄격한 심리와 채증을 통해 객관적으로 납득 가능한 판결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책위는 기업은행 등 판매사들을 상대로 원금 반환투쟁을 단계적으로 강화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대책위는 "판매사들과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은 판매이전부터 직접 상대해 온 당사자들이지만, 피해자들 입장에서는 자산운용사 보다 기업은행 등 판매사들이 직접 거래 상대였다"면서 "대책위는 기업은행 등 판매사들을 상대로 원금 회복요구 투쟁을 확대할 계획으로 기업은행과 상처만 남는 방식을 지양하고 이전과 다른 방식의 대화와 소통으로 사태 해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신임행장 및 책임당사자들이 인식의 전환을 통해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 주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윤종원 기업은행장의 내부 직원들과의 소통부족, 안하무인식 관료출신의 한계, 고객이자 피해자인 디스커버리펀드 피해자들을 대하는 권위적인 리더쉽의 문제 경험과 달리 내부승진으로 행장에 임명된 김성태 행장에 조직 인화 협력 및 소통의 리더쉽 발휘, 최근 어려운 경제여건에 중소기업금융의 중요성이 절실한 상황에서 은행 내부 사정을 잘 알고, 오랜 시간 경륜이 쌓인 취임은 새로운 리더쉽으로서 위기를 극복하는 최적의 선택"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나비 36.5°C A+,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